인어 공주 가는 길에 잠깐 들어가본 디자인 박물관.
엄청난 크기의 의자가 로비에 놓여있었다.
St.Alban 교회.
Gefion 분수.
Gefion 여신은 스웨덴의 왕에게 하루 낮, 하루밤동안 경작한 땅을 주겠다는 얘기를 듣고 네 아들을 황소로 바꾸어 최선을 다해서 얻어낸 땅이 Zealand, 지금의 코펜하겐이 있는 곳이란다. 어디서 많이 들은 이야기, 땅에 대한 사랑은 인류 공통의 것인 것 같다.
이 분수는 1897년 칼스버그사가 설립 50주년 기념으로 기증하기로 한 것으로 1908년 대중에게 공개되었다고 한다. 칼스버그가 덴마크 회사였는지 처음 알았다. 칼스버그 한 잔 마시고 올 걸 그랬네.
오른쪽에 항구를 끼고 좀 걸어가면,
먼 곳을 바라보고 있는 인어공주상이다. 이렇게 고독하게 보이지만,
실상은 이렇다는.
이 작은 인어공주상이 수많은 사람들을 이 곳으로 끌어당기고 있다. 보면 참 별 것 아니지만 안 보고 가기는 아쉬운 인어공주상.
그래도 참 외로워 보인다.
시내를 걷다가 만난 오렌지빛의 오래된 건물.
로젠버그(Rosenberg)성, 17세기 초반에 더치 스타일로 지어졌다고. 근데 왜 데니쉬 스타일이 아니고 더치(네덜란드)인거지?
King's garden에는 주말을 즐기러 나온 시민들이 많았다. 무슨 콘서트가 열리고 있는 듯 음악 소리가 온 공원을 채웠다.
지나가다가 Round tower 라는 곳을 봤는데 꼭대기에 올라갈 수 있다고 해서 올라갔다.
어느 도시나 View point는 있기 마련.
곳곳에 솟은 첨탑과 붉은 지붕의 건물들.
내가 서 있는 곳이 더 높아야 잘 보일 것 같은데...
그래도 말뫼로 건너가는 외레순 다리도 보이고,
어제 봤던 말뫼 터닝 토르소도 저 멀리 보인다.
타워 꼭대기에는 모자 전시회가 열리고 있었다.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모자를 특히 좋아하는 듯, 스톡홀름에서도 모자 전시회를 봤었다.
숫자판이 요상한 시계도 있었다. 다섯 시 오십오분을 가리키는 거였나?
왔던 길과 다른 길을 찾아 역으로 돌아가는 길, 이건 아마 오래된 주식거래소.
운하를 따라가다 발견한 저건 뭐지?
지속가능한 건축, 도시 생활을 상징하는 녹색 버블이란다.
전에 어디 기사에서 큰 유리구를 만들어 밖에서 들어가는 것도 나오는 것도 없이 완전 자급자족으로 살아가는 실험을 한다고 들엇는데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다.
데니쉬 페스트리를 먹어볼까 하고 빵집을 찾았는데 모두 문을 닫아버렸다. 한 빵집에서는 직원이 빵이 담긴 큰 자루를 갖고 문을 잡그고 있었다. 저 빵 혹시 버리는 건 아니겠지? 아쉬운 마음으로 중앙역 도착.
말뫼까지 가는 기차표는 자동판매기에서 스웨덴 크로나로 살 수 있다. 왔던 길 그대로, 기차 타고 버스타고 다시 기차 타고 말뫼로 돌아왔다.
'혼자떠나는여행 > 스웨덴/노르웨이'14,6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+9(4) 말뫼 호텔, Radisson blu Malmo (10) | 2015.03.10 |
---|---|
D+9(3) 외레순 다리, 말뫼 코펜하겐을 잇는 (8) | 2015.03.07 |
D+9(1) 코펜하겐 걷기 (8) | 2015.02.23 |
D+8(3) 터닝 토르소와 저녁 풍경, 말뫼 (5) | 2015.02.20 |
D+8(2) Ystad 에서 태국 음식 먹고 바닷가 산책 (8) | 2015.02.18 |